티스토리 뷰
유통효율성 제고 방안(기본방향)
산지출하조직의 규모화
광역단지별 친환경 농산물 생산자조직 결성, 산지조직간 연합 판매 시스템 도입
생산 지역의 단지화를 통한 자재사용 및 재배방법 통일
지역단위의 토양관리
공동선별/공동계산을 통한 공동출하 체계 구축
친환경농산물의 신뢰성 개선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의 개선 및 생산이력제(Tracability)등 강화
장기적으로는 유기농산물 인증제도만 유지하는 방안 검토 (저농약, 무농약 폐지)
생산이력제의 신뢰성 제고를 위한 정보 관리체계 구축, 소비자 홍보 강화 확대
상품성 개선
상품화 이전 단계
예냉, 신선편이 처리 등 수확 후 관리 기술 및 설비 도입 확대
다수 조직의 공동 시설 도입 및 운영으로 운영비 절감 및 가동률 제고 도모
상품화 이후 단계
친환경 농산물 전용 품질 규격 선정 필요
예냉, 저온저장에 적합한 기능성 포장재의 개발 확대
전용 브랜드 강화
마케팅 개선
산지조직의 홍보 및 판매촉진 활동 강화
도농 교류 강화를 통한 소비자들의 친환경 생산현장 체험 확대
유통 단계 판촉에 적극 참여
소비지 유통업체들의 상품차별화, 차별적 마케팅 강화
친환경농산물 PB 상품 개발 및 관련 마케팅 강화
전용 진열 공간 마련, 친환경 이미지로 매대 개선 등 차별화 추진
주 고객층의 행동양식, 취향, 구매성향 분석을 통한 표적 마케팅
(Target Marketing) 확대
상품의 전략적 코디네이션(VMD: Visual Merchandising),
시식 행사 등을 통한 소비자 적극적 공략 강화
상류 및 물류 기능 개선
친환경농산물의 가격형성 기능 개선 필요
산지 농가와 유통업체간의 계약 시스템 강화를 통한 공급과 품질의 안정화 도모
전용 사이버 마켓 구축을 통한 B-B, B-C 거래 확대 유도
제3자 물류업체시스템 구축을 통한 물류비 절감 및 전문성 강화
포장 규격화 및 파레트 이용 등의 일관수송시스템(ULS) 확대
명실상부한 “Farm to Table”의 저온유통(cold-chain) 시스템 구축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의 관광 (0) | 2023.05.05 |
---|---|
친환경 농산물의 유통실태 및 효율성 제고 방안(2) (0) | 2023.05.04 |
여성주의이론 정신분석학적 여성주의 (0) | 2023.05.02 |
감수분열에서의 성 염색체 (Sex chromosome (0) | 2023.05.01 |
유전적 다양성, 유전자 다양성 (0) | 2023.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