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개념 및 필요성 수확 후 관리 기술 (Post-harvest technology)의 개념 농산물을 수확 한 후 선도 및 상품성 등을 유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기술 수확 후 일어나는 농산물의 대사활동을 최소화하는 기술 cf. 냉동인간? 필요성 농산물의 가치 제고 유통기간이 길어지는 경우 유통업체 및 소비자의 선호 증가 농산물의 저장 기간 및 거리 확장 시장의 확대 가능 공간적 확대: 국내 시장 해외 시장 시간적 확대: 저장 기간 연장을 통한 출하 시기 확장 분야별 내용 주요 기술들 큐어링(Curing) 예냉(Precooling) 저온저장(Cold Storage) 에틸렌 가스(Ethylene gas) 제거 선별(Selection and grading) 포장(Packing) 및 팔레타이징(Palle..
농산물 유통조직의 변화 농산물 유통조직의 변화 추세 수직적 조정(Vertical coordination)의 확대 산지-가공-…-소비자의 수직적인 유통 단계가 상호 조정됨 계약 등의 방식으로 진행 유통 또는 가공업자의 농민 종속화 문제 제기 생산 관련 의사 결정권이 유통 · 가공업자에게 이양 농민의 조직화 및 규모화로 대응 가능 예: 협동조합 운동 농식품산업의 전문화(Specialization) 진행 한 상품만 집중적으로 생산하여 규모화 도모 유통의 효율성 중 경영의 효율성 ↑ but 독과점 강화에 따른 가격의 효율성 ↓ 농식품산업의 다각화(Diversification) 진행 시장의 분산화 확대 시장의 종합화 및 결합화 진행 농식품산업의 다각화(Diversification) 진행 생산자 등이 기존의 고유 ..
과징금 103 “과징금”이란 행정법규의 위반이나 행정법상의 의무위반으로 경제상의 이익을 얻게 되는 경우에 당해 위반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을 박탈하기 위하여 그 이익액에 행정기관이 과하는 행정상의 제재금이라 함. 예 ) 독 점 금 지 및 공 정 거 래 에 관 한 법 률 제 6 조 – “ 공 정 거 래 위 원 회 는 시장지배적사업자가 남용행위를 한 경우에는 당해 사업자에 대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매출액(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업자의 경우에는 영업수익을 말한다. 이하 같다)에 100분의 3을 곱한 금액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안에서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다만, 매출액이 없거나 매출액의 산정이 곤란한 경우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우(이하 "매출액이 없는 경우등"이라 한다)에는 10억원을 초과하지 아니하..
가산세· 가산금 105 “가산세”란 세법상의 의무의 성실한 이행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세법에 의하여 산출된 세액에 가산하여 징수되는 세금을 말함(국세기본법 제2조제4호). "가산금"(加算金)이란 국세를 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에 「국세징수법」에 따라 고지세액(告知稅額)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과 납부기한이 지난 후 일정 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에 그 금액에 다시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을 말함(국세기본법 제2조제5호). 가산금과 중가산금 “가산금”이란 납부의무자가 지방세외수입금(과징금, 이행강제금, 부담금 등)을 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할 때에 지방세외수입관계법에 따라 지방세외수입금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과 납부기한이 지난 후 일정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할 때에 그 금액에 다..
성공하는 경영자의 특별한 습관 1. 최고의 성공비결은 ‘배포=지구력’ 2. 준비가 행운을 만든다. 3. 계산기 두드리는 인생을 살지 않는다. 4. 새로운 것을 겁내지 않는다. 5. 비위를 맞추기 보다는 원칙에 맞춘다. 6. 장애물이야말로 뜀틀이다. 16 제 2 절 경영자의 유형 7. 욕먹는 것도 즐길 줄 안다. 8. 겸손은 만병통치약 9. 열정은 힘이 세다. 10. 세상의 불공평으로부터 맷집을 키운다. 11. 시간날 때마다 독서를 많이 한다. 12. ‘나는 된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산다. 13. 체력도 경쟁력이다.
1) 전반경영자(General Manager) - 전사적 경영활동이나 개별 직능부문의 활동을 통합, 관리하는 경영자를 의미. - 주로 이사급 이상의 임무를 수행하는 사람들. - CEO나 최고경영자는 당연히 전반경영자라고 할 수 있으나 전반경영자가 CEO나 최고경영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 글로벌시장에서 활동하는 기업은 다양한 전략사업단위(SBU)를 유지하므로 다수의 전반경영자가 활동. 2) 직능(기능중심)경영자(Functional Manager) - 전문화된 특정 직능과 기능부문을 담당하는 경영자를 의미. - 이들은 기업의 구체적인 업무기능(구매, 생산, 인사, 마케팅, 재무 등)를 관리, 감독함 - 대부분의 직능경영자는 CEO나 전반경영자의 지휘에 따라 업무수행.
1) 최고경영자(Chairman, CEO, Top Manager) - 의사결정구조의 최상위자 의미. - 기업별로 회장, 대표이사, 사장, 부회장, 부사장, 이사 등 (우리나라는 임원이 여기에 해당) - 최고경영자는 이사회를 주재하고 기업전략과 중장기 목표의 설정, 전사적 의사결정을 담당 - 현실적으로 회장과 사장이 병존하는 경우 → 사장이 업무책임자로 회장의 지휘아래 기업의 일상적 업무에 관한 의사결정을 집행함 - 기업의 핵심적 의사결정자로써 신(新)사업의 진출, 투자 결정, M&A 등을 주도함 2) 중간경영자(Middle Manager) - 최고경영자가 제시한 미래비전과 전략계획에 따라 각 기능과 부문을 관리하고 하위경영자들을 지휘하는 경영자 - 중간경영자들은 최고경영자가 제시한 장기적, 거시적, 추상..
① 외국국적동포에 대하여 신청에 따라 재외동포체류자격을 부여하고 이 자격으로 입국한 경우 거소 를 정하여 국내거소신고를 할 수 있음. ② 외국국적동포는 3년간 체류 허용되고, 체류연장허가를 통한 계속 체류가 허용되며, 체류기간 내 출국 후 재입국시 재입국허가가 필요없음. ③ 국내거소신고를 한 외국국적동포는 부동산의 취득·보유·처분 시 그리고 예금·적금의 가입, 이율의 적용, 입금과 출금 등 국내 금융기관을 이용할 때 국민과 동등한 권리를 가짐. ④ 국내거소신고를 한 외국국적동포가 90일 이상 대한민국 안에 체류하는 경우 건강보험을 적용받 을 수 있음. ⑤ 국가유공자법, 독립유공자법에 따른 보훈급여금을 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