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관리 /파일과 파일시스템
정보관리 /파일과 파일시스템
|
-파일과 파일시스템
1.파일
-파일의 개요
파일은 사용자가 작성한 서로 관련있는 레코드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 단위가 되며,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다.
각 파일마다 이름,위치,크기,작성시기 등의 여러 속성을 가지고 있다.
-파일 특성을 결정하는 기준
소멸성 : 파일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작업의 빈도수
활성률 : 프로그램이 한번 수행되는 동안 처리되는 레코드 수의 백분율(수행레코드수/전체레코드수 X100)
크기 :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량
2. 파일시스템
파일 시스템은 파일의 저장, 액세스 공유 보호 등 보조기억장치에서의 파일을 총괄하는 파일관리 기술이다.
-파일 스시템의 기능 및 특징
사용자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수정,제거할수 있도록 한다.
적절한 제어 방식을 통해 타인의 파일을 공동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한다.
파일 공유를 위해서 판독만 허용, 기록만, 수행만 또는 이들을 여러형태로 조합한것등 여러 종류의 액세스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적합한 파일구조로 파일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불의의 사태를 대비하여 파일의 예비(백업)과 복구(recovery)드으이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물리적 장치 이름 대신에 기호화된 이름을 사용할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파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파일의 논리적 상태를 보여주어야 한다.
파일을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하고 파일이 보호되어야 한다.
파일의 정보가 손실되지 않도록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해야 한다.
-파일 시스템의 파일관련 주요작업
-파일단위 작업
Open, Close, Create, Copy, Destroy, Rename, List
-파일내의 레코드 단위 작업
Read, Write, Update, Insert, Delete, Search
3.파일 디스크립터
-파일디스크립터의 개요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갖고있는 제어블록을 의미하며 파일제어블록이라고도 한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마다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시스템에 따라 다른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통 파일 디스크립터는 보조기억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다가 해당 파일이 Open될 때 주기억장치로 옮겨진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 시스템이 관리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참조할수 없다.
-파일디스크립터의 정보
파일 이름 및 파일 크기
보조기억장치에서의 파일 위치
파일구조 : 순차파일 ,색인순차파일, 색인파일 등
보조기억장치의 유형 : 자기디스크,자기테이프 등
액세스 제어정보
파일 유형 : 텍스트파일, 목적프로그램파일 등
생성 날짜와 시간, 제거날짜와 시간,
최종수정 날짜 및 시간
액세스한 횟수 : 파일사용횟수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수집 사용자와 대화방법 / 가이드라인 5W / 인터뷰의 중요성 (0) | 2022.09.25 |
---|---|
질문의 유형 / 열린질문 닫힌질문 추가질문 (0) | 2022.09.25 |
파이프라인에 의한 속도 향상 (0) | 2022.09.24 |
영양교육의 평가(See, check) (0) | 2022.09.24 |
영양교육평가의 활용 (0) | 2022.09.24 |